-
cgroupsIT용어 및 개념 정리 2018. 10. 24. 01:51
샌드박스라는 개념을 공부하면서 cgroup이라는것도 공부해보라는 개발자분의 말씀이 있으셔서 공부해봅니다.
자 이게 무엇인지 차차 알아봅시다.
우선, 링크 를 따라가면 cgroups는 control groups의 약자다.
cgroups
cgroups(control groups의 약자)는 프로세스들의 자원의 사용(CPU, 메모리, 디스크 입출력, 네트워크 등)을 제한하고 격리시키는 리눅스 커널 기능이다.
구글의 엔지니어들이 2006년에 이 기능에 대한 작업에 착수하였고 당시 이름은 "프로세스 컨테이너"(process container)였다.[1]2007년 말에 리눅스 커널 문맥에서 "컨테이너"라는 용어의 의미가 여러 개이므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이름이 "컨트롤 그룹"(control groups)으로 변경되었으며, 컨트롤 그룹 기능은 2008년 1월에 출시된 커널 버전 2.6.24에 리눅스 커널 메인라인으로 병합되었다.[2] 그 뒤로 개발자들은 수많은 새로운 기능과 컨트롤러들을 추가해오고 있는데, 이를테면 kernfs 지원,[3] 방화벽,[4] 통합된 계층구조를 포함한다.[5]
채택[편집]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cgroups를 기반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코어OS, 도커, 하둡, Jelastic, Kubernetes,[6] lmctfy (Let Me Contain That For You), LXC (리눅스 컨테이너/LinuX Containers), systemd, Mesos, Mesosphere,[6] HTCondor 등이 있으며 메인라인 리눅스 커널에 채택된지 3년이 지난 2010년 11월에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6과 같은 주요 리눅스 배포판에도 또한 채택되었다.[7]
링크에 들어가면 나오는 내용을 일부? 발췌한것이다.
자원의 사용과 관련된 부분이니 os와 관련된 내용인것 같다.
이것을 좀 더 공부하고싶으면, 도커, 하둡이라는것을 공부하면 좋을것 같다.
그리고 리눅스 커널의 인터페이스에 속하는 부분이다.
링크 상세한 공부를 위해선 다음과 같은걸 공부하면 좋겠다.
분류:리눅스 커널의 인터페이스
"리눅스 커널의 인터페이스" 분류에 속하는 문서
다음은 이 분류에 속하는 문서 13개 가운데 13개입니다.
리눅스 커널맵
'IT용어 및 개념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0) 2019.05.19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DI), 결합도(Coupling), 응집도(Cohesion) (0) 2019.04.25 컴포넌트 (0) 2018.10.24 샌드박스 (0) 2018.10.24 댓글